- 상수와 변수 -
//상수
let name = "park"
let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며 처음에 입력된 값 이후로는 변경 할 수 없다.
//변수
var age = 27
var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며 값을 계속 변경 할 수 있다.
- 초기화 및 타입 -
var name = "park" // String
var age = 27 // Int
var flag = true // Bool
이런식으로 타입이 자동으로 정해진다.
하지만, 문자(character)만 원할때에는 타입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타입을 명시해주면 된다.
var ch : Character = "a" // Character
마찬 가지로 숫자 계열에서는 Double, Float 이라는 타입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타입을 명시해 준다.
var distance : Double = 1.0
var pi : Float = 3.1
명시적으로 표현안해도 되는 상황과 표현을 해야하만 하는 상황을 잘 구분해서 적용하면 될 것 같다.
//상수
let name = "park"
let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며 처음에 입력된 값 이후로는 변경 할 수 없다.
//변수
var age = 27
var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며 값을 계속 변경 할 수 있다.
- 초기화 및 타입 -
var name = "park" // String
var age = 27 // Int
var flag = true // Bool
이런식으로 타입이 자동으로 정해진다.
하지만, 문자(character)만 원할때에는 타입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타입을 명시해주면 된다.
var ch : Character = "a" // Character
마찬 가지로 숫자 계열에서는 Double, Float 이라는 타입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타입을 명시해 준다.
var distance : Double = 1.0
var pi : Float = 3.1
명시적으로 표현안해도 되는 상황과 표현을 해야하만 하는 상황을 잘 구분해서 적용하면 될 것 같다.
댓글
댓글 쓰기